본문 바로가기

생각정리 글쓰기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요약 201230 - 1월 1일부터 시행, ‘구직촉진수당’이란?, - 일본 통신사들 요금 인하, 우리도 통신요금 인하될까?, 코로나 백신 차별 문제점, 설이전 25번째 부동산 대..

 

1 1일부터 시행, ‘구직촉진수당이란?

 

 저소득 구직자, 청년,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영세 자영업자 등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1인당 300만원씩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가 내년 1월 1일 시행된다.

고용노동부는 28일 국민취업지원제도 온라인 전산망(www.work.go.kr/kua)을 개통해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이 사전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했다.

 

- 구직촉진수당은 누가 받을 수 있는가.

 구직촉진수당을 받으려면 소득, 재산, 취업 경험 등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우선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50%(1인 기준 약 91만원, 2인 154만원, 3인 199만원, 4인 244만원) 이하에 해당해야 한다. 가구 소득은 신청인과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의 소득을 합산한 것이다.

18∼34세 청년은 중위소득 120%(1인 약 219만원, 2인 371만원, 3인 478만원, 4인 585만원) 이하면 된다.

재산은 3억원 이하여야 한다. 재산은 토지, 건축물, 주택을 기본으로 하고 분양권, 자동차 등도 포함하되 지역별 생활 비용 등을 고려해 일부 금액을 공제할 수 있다.

또 최근 2년 내 100일(또는 800시간) 이상 취업 경험이 있어야 한다. 이는 취업 노력은 하지 않고 구직촉진수당만 받으려고 신청하는 사람을 배제하기 위한 장치다.

근로 일수와 시간 산정이 어려운 특고 종사자 등은 최근 2년 내 소득이 684만원 이상이면 취업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한다.

구직촉진수당은 1인당 월 50만원씩 6개월 동안 지급된다. 수급자가 취업 지원 프로그램에 성실히 참여하지 않을 경우 수당 지급이 중단될 수 있다.

 

- 구직촉진수당을 반복적으로 수급할 수도 있나.

 취업보다는 구직촉진수당을 받기 위해 반복적으로 신청하는 도덕적 해이를 막고자 정부는 구직촉진수당 재수급 제한 기간을 3년으로 설정했다. 구직촉진수당을 받은 사람이 다시 수급자로 선정되려면 최소 3년은 기다려야 한다는 얘기다.

 

- 수당을 받다가 취·창업에 성공하면 수당 지급이 끊기는가.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가 취·창업에 성공하면 수당 지급은 중단되지만, 1인당 150만원씩 취업 성공 수당을 받을 수 있다.

취업 성공 수당은 근속 기간이 6개월일 때 50만원을 지급하고 1년이 되면 추가로 100만원을 지급한다

 

- 일본 통신사들 요금 인하, 우리도 통신요금 인하될까?

당장 일본은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거듭되는 압박으로 통신사들 가격 인하에 속도가 붙고 있다. 1위 통신사업자인 NTT도코모가 자사 메인 브랜드에서 매월 데이터 20GB를 쓸 수 있는 2980엔(약 3만1000원)짜리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이보다 비싼 가격을 받고 있는 KDDI(AU)와 소프트뱅크를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앞서 KDDI는 저가 서브 브랜드인 UQ모바일에서 월 20GB 데이터를 3890엔에 쓸 수 있는 요금제를 도입한다고 공개했으며 소프트뱅크 역시 같은 용량에 대해 서브 브랜드인 와이모바일에서 4480엔짜리 요금제를 발표했다

일본 통신사들의 가격 인하 행렬은 스가 내각의 압박에서 비롯됐다.

 

코로나 백신 차별 문제점

코로나 백신을 맞고 있는 국가가 늘어남에 따라 백신차별 논란

백신만 맞은 사람이 할수 있는 일 백신여권 백신 맞은 사람

대중교통, 콘서트장, 식당 등 백신 맞은 사람만 하자 라는 의견이 나옴

 

설이전 25번째 부동산 대책 예정

창흠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이 내년 설 명절 전에 25번째 부동산 대책 발표를 예고했다. 서울 도심 주택 공급 대책과 더불어 일부 규제 완화 정책이 담길 것이란 전망

도심 내 저렴하고 질 좋은 주택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내년 설 명절 전에 마련해 발표하겠다”

 

친절한 경제

배당락이 뭔가요? 배당을 해도 배당락 영향이 없는 이유는?

어버이날 카네이션 예를 들어보면 7일에 제일 비싸고 8일은 쓸모가 없어져 가격이 내리는것 과 같음

28일 가지고 있어야 배당이 나옴 주식이 카네이션이면 월요일 어버이날

배당주는 화요일 아침이면 쓸모가 적어짐 가지고 있어도 배당이 안나옴

그래서 배당기준일 이후 가지고 있으면 배당금액 만큼 할인되어 거래가 됨 

예) 500원 배당금이라면 500원 빠지는 금액에 거래가 되는게 배당락

 

그런데 배당락 없이 지나가는 경우

꽃값이 계속 오르는 경우엔 카네이션 값이 안떨어지는것 과 같이

주식이 계속 오르는 시기에는 배당락이 있더라도 배당락이 존재는 했어도 그 다음날 주가가 오른다면

배당락이 있는지 없는지 지나가는것과 같음

 

 

 

728x90
반응형
LIST